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며 혁신하는 삼영기업
다양한 사업분야로 서비스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태양광발전이란 태양전지 모듈과 발생된 직류전압을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등으로 구성된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입니다.
태양광,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의 신·재생에너지원을 주택에 설치할 경우
설치비의 일부를 정부와지자체가 약 70% 금액을 보조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태양광 최대 3kw 까지 지원가능
태양광 설치 전 요금(원) |
태양광 설치 후 요금(원) |
절감 요금(원) |
47,590 | 0 | 47,590 |
55,080 | 1,130 | 53,950 |
88,190 | 10,800 | 77,390 |
104,140 | 16,100 | 88,040 |
신청대상 | 단독주택,공동주택 |
(단독주택) 기존 또는 신축 주택의 소유자 또는 소유예정자 | |
(기존 공동주택) 공동주택 소유자 또는 입주자 대표(등) • 입주자(세대주 전체) 자필동의서 또는 입주자 대표회의 의결내역 제출 필수 (신축 공동주택) 신축 중인 공동주택의 시행·공사 대표 또는 입주자 대표 등 • 설치완료기한 내 설치완료가 가능한 신축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함 | |
신청방법 | 단독주택,공동주택 |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대하여 설치비의 일정부분을 정부에서 무상 보조·지원함으로써, 새로이 개발된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상용화를 유도하고 상용화된 기술에 대하여는 보급 활성화를 통하여 신재생에너지 시장창출과 확대를 유도하는 사업입니다.
• 지원대상
모든 일반건물 (주택/국가 · 지방자치단체가 소유 · 관리하는 건물 · 시설물/설치의무화 적용건물은 제외)
계약전력 (상업용) |
태양광 설치 전 | 태양광 설치 후 | ||
월 사용량 (kWh) |
전기요금 (원) |
월 사용량 (kWh) |
전기요금 (원) |
|
5 | 1,125 | 138,258 | 600 | 89,554 |
10 | 2,250 | 270,377 | 1,200 | 172,948 |
30 | 6,750 | 811,132 | 3,600 | 518,844 |
50 | 11,250 | 1,351,887 | 6,000 | 864,740 |
RPS는 Renewable Portfolio Standard의 약자로 RPS제도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를 말합니다.
일정규모 (500MW)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 한 제도입니다.
REC는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의 약자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서 에너지를 발전했다는 걸 증명하는 인증서’입니다.
대형 발전사업자들은 의무발전량 만큼의 REC를 구매해도 신재생에너지로 발전했다는 인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 REC를
구매해서 의무발전량을 채울 수 있습니다.
System Marginal Price의 약자로 ‘계통한계 가격’을 뜻합니다. 전력판매자가 발전한 전기 에너지를 전력중개소를 통해 한국전력공사에 파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태양광을 설치할 부지와 공간이 있다면,
가장 안전하고 수익이 보장되는 사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RPS business process
01
02
03
04
05
지역 특성과 환경을 파악하여 적용 가능한 에너지신산업 사업모델과 기술을 적용하여
지역의 에너지 경제 활성화와 기술시장을 육성 합니다.
분산형 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 기술 적용
지역, 마을 그리드 간 연계를 위한 전려걱래(P2P) 전력중개 기술
신재생에너지 원격 관제 및 고장진단 모니터링 기술
2종 이상 에너지 융합기술 및 미활용 에너지 이용기술
마이크로 그리드연계 스마트팜/관광레저/마을공동체의 융복합 신재생에너지 자급율 향상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최적 운영 시스템의 활용성을 높임으로써 데이터 사업화과 마이크로 그리드 사업에 활용
전기-열-저장의 융복합 신재생에너지 자급율 향상기술 확보
중개사업자 확대와 수요/공급자의 지역 유지관리를 통한 에너지 신사업 확대와 신규 일자리 창출이 가능
프로슈머 이웃 간 전력거래 활용 : 재생에너지를 설치하고 사용 후 남는 전력을 이웃에게 판매하여 수익 창출
지역 신재생에너지 확산과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